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성정형화의 폐해 남자편 1. 성 정형화의 폐해 성정형화의 폐해중 남성을 중심으로 먼저 다뤄보겠습니다. 성 고정관념은 여성들에게만 불리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닌 듯하다. 여성과 마찬가지로 남성들도 정형화된 성 역할 속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인식이 최근 일고 있다. 한 예로, 여성을 위한 모임(1994)에서는 서울 및 도시를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남성다움의 덫'에 빠져 있는 남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을 조사하였는데, 그들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남성들의 대표적인 심리적 어려움이 소개되었다. 2. 여섯가지 남성 콤플렉스 1) '남자다움' 콤플렉스 남성은 대부분 대대로 유산처럼 물려받은 지배와 권위에 대한 환상으로 '남자다운 남자'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감을 갖고 있으며, 다.. 2023. 4. 23.
성격이론중 특질론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1. 특질론에 대하여 사람들은 타인의 성격을 기술하기 위해서 종종 내향적, 소심한, 또는 정직한 등의 형용사들을 종종 사용한다. 특질론에서도 사람들의 행동을 기술하거나 설명하기 위해서 특성을 사용한다. 그러나 과학적인 특질이론들에서는 사람들을 어떤 형으로 분류를 하는 대신 해당 특성 차원들의 연속선상에서의 위치를 양적 접근을 한다. 왜냐하면 유형론은 이분법적이어서 지나치게 단순화된 기술 방법이기 때문이다. 특질(trait)이란 한 사람을 다른 사람과 비교적 영속적으로 구분해 주는 심리적 경향성을 말한다. 이는 성격을 기본단위이자 인간 행동의 다양성(개인차)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성은 선천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고, 후천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사람들은 나름대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 2023. 4. 19.
MBTI검사 결과 의미와 뜻 1. MBTI검사 네가지 성격유형지표 94개 문항으로 구성된 MBTI는 인간의 4가지 선호경향을 나타내는 성격유형지표 (Type Indicator)를 통해 각 개인이 선택으로 더 자주, 더 일관되게 사용하는 선호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외향성/내향성(E), 감각/직관(SN), 사고 감정(TF), 판단 인식(JP)의 네 가지 성격유형지표로 구성되어 있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 외향성과 내향성(E or I) 그리고 감각적 혹은 직관적(S or N) 1) 외향성 - 내향성(EI: Extraversion-Introversion) 개인이 에너지를 어디서 획득하고, 관심이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외향성(E)과 내향성으로 나뉜다. 외향성인 사람의 심리 에너지는 주로 외부 세계를 지향하고 외부 .. 2023. 4. 17.
MBTI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MBTI에 대하여 MBTI는 '마이어스 - 브릭스 성격유형검사(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약자이다. MBTI는 Carl G. Jung의 성격유형론을 바탕으로 하여 1900년부터 1975년까지에 걸쳐 Catherine Briggs와 그녀의 딸 Isabel Briggs Myers 그리고 그녀의 손자인 Peter Myers가 연구 개발한 성격검사로서, 자기보고(self report)를 통해서 개인이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난 심리적 경향성을 파악해보는 검사이다. 브릭스(Briggs)는 자서전연구를 통하여 인간의 개인차를 연구하던 중 1920년에 융(Jung)의 심리유형론을 접한 뒤 20여 년 동안 주변 사람들을 체계적으로 관찰한 결과 '융'의 심리유형 이론이 임상.. 2023.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