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친화과정의 단계 두번째 그리고 이별과정입니다.

by CHHHHH 2022. 10. 19.

인간의 친화과정을 단계별로 나눴을때 심화 단계와 통합단계,  결합단계입니다.

3. 심화단계 

심화단계(intensifying)는 단순히 '아는 관계' 수준에서 ‘친한 수준으로 넘어가는 단계입니다. 적극적인 참여와 관계 진전의 자각이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우리는 마음과 시간을 투자해서 친밀성과 신뢰수준을 증가시키고 두 사람 간의 관계는 심화합니다. 자아노출도 증대되어 자신의 결점, 두려움, 실패, 좌절, 편견과 같은 은밀한 비밀들도 쉽게 털어놓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서로를 부르는 호칭도 친밀해지고 말을 편하게 하게 되고, ‘우리’라 는 표현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 자기들끼리 통하는 농담, 은어와 같은 개인적 상징이 개발됩니다. 둘이 같이 보내는 시간도 많아지고 함께 나누는 것도 증대됩니다. 즉, 누적되고 공유된 가정, 기대, 관심, 지식, 상호작용, 경험의 축적물 위에 성립된 일종의 언어적 지름길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몰입의 보다 직접적 표현을 사용하게 됩니다. 점진적으로 어느 한쪽이 조정자의 역할을 하게 되기도 한다. 비언어적 메시지 전달에서 정교화가 또한 증대됩니다. 긴 대화 대신에 동작 하나로 해결되기도 한다. 태도(입장)의 일치가 보이기 시작하고, 심지어 복장도 비슷해지기도 합니다.

소유와 개인적 공간이 모호해지기도 합니다. 관계가 심화할수록 각각의 사람은 상대방의 성격에 친화하는 동시에 자신의 독특성을 드러내게 됩니다. 요컨대 상호 간의 관계가 심화할수록 각각의 개인은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게 되고, 동시에 상대방의 개성과 자신의 개성을 융합시키게 됩니다. 

 

4. 통합단계 

통합단계(integrating)는 심리적으로 하나가 되는 단계입니다. 즉, 관계가 더욱 심화하고 더 많은 것을 공유하게 됨에 따라 두 사람의 개성은 혼합되고 두 사람 간의 차이는 최소화됩니다. 특히 신뢰와 자아 노출이 더욱 심화하여 서로의 관계가 최고조에 이르게 됩니다. 

통합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표현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첫째, 타인들과 구분되는 둘만의 태도, 의견, 관심, 취향 등이 활발히 생성됩니다.

둘째, 그들이 소속된 사회적 집단이 합체되고 타인들이 두 사람을 동일체로 간주하기 시작합니다. 

셋째, 친밀함의 “전리품(trophies)”이 교환됨으로써 각자는 상대방의 사진, 핀, 반지 같은 것을 착용하게 됩니다. 

넷째, 버릇, 의상, 언어적 행태에서 유사점이 둘의 동 일성을 강조하게 됩니다. 

다섯째, 다양한 육체 일부의 실제적이고 신체적 침투(penetration) 가 동일성을 타인이 인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여섯째, 종종 “우리 노래”, 공동은행 계좌, 공동 저작과 같은 공동의 소유물을 의도적으로 만듭니다.

일곱째, 감정이입의 과정이 최고점에 올라 행동의 설명과 예측이 보다 용이해집니다.

여덟째, 신체리듬과 일상사가 고도의 일치성에 도달합니다. 

아홉째, 이따금 제 3자나 대상의 사랑이 관계를 공고히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통합이 완전하나 됨, 혹은 개성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데 유의하여야 합니다. 얼마간의 자신의 독특성, 개성의 유지는 매우 중요하며,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타인과 통합단계에 도달했다는 것은 우리가 또 다른 개인이 된다는 것에 동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5. 결합단계

결합단계(bonding)는 일종의 공식화된 계약단계입니다. 이상의 여러 가지 과정과 단계를 거쳐 그동안의 결론이 만족스러웠다면, 이제 관계를 '공식화하고 ‘계약하여 공고히 할 필요가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성 간의 관계에서는 애인 관계, 약혼, 결혼과 같은 단계를 밟게 됩니다.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는 굳이 '공식화'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어떠한 모양으로든 관계를 형식화하는 절차를 밟게 됩니다. 그럼으로써 서로의 관계 유지와 발전을 위해 기여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결합을 통해 서로에 대한 무한한 기여와 헌신이 요구되며 관계에 대한 새로운 규정 및 새로운 행동 규율이 정해지기도 합니다. 

 

결합단계는 관계에 대한 사회적이고 제도적인 지지를 얻는 방법입니다. 이는 두 사람 이 법률, 정책, 선례에 의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결합은 또한 구체적 규칙과 규제를 통하여 관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줍니다. 

그리고 이 결합단계는 관계의 본질을 좋게 혹 안 나쁘게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의 중요한, 강력한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이별 과정 

사실 모든 관계는 항상 친화 과정과 같이 이런 식으로 발전하는 것은 아닙니다. “올라가는 길과 내려가는 길은 같다”는 헤라클리투스(Heraclitus)의 말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관계가 정리되는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이별 과정은 차이가 난 지, 겉돌기, 침체, 회피, 이별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차이 감지 단계

차이감지단계에서(differentiating)는 헤어짐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본래 개인 간의 차이점은 관계 발전의 어떠한 단계와도 관련되어 있지만, 이 단계에서는 특히 그 차이에만 초점을 두고 관심을 가지는 단계입니다. 서로 얼마나 다른가를 이야기하고 생각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우리’라는 개념보다는 ‘나’라는 개념이 앞서게 되며 공동의 소유물들도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상호 대화 시간도 감소합니다. 

일반적인 차이감지 단계에서의 가시적 의사소통 유형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다툼이나 갈등입니다. 종종 갈등은 관계를 상하게 하는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개인의 관용 문제입니다. 

 

2. 겉돌기 단계 

겉돌기 단계(circumscribing) 대화가 단절되기 시작하고 피상적으로 진행되는 단계입니다. 이러한 대화의 유형은 다른 단계에서도 나타날 있지만, 단계에서는 특히 정보교환이 양적, 질적으로 감소합니다. 대화에서 기본적 행태는 조심스러운 통제와 안전 영역에서 대화를 한정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대화의 제한 또한 관계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관계가 겉돌기 단계에 있을 때는 공적, 사회적 생활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종종 함께 속해 있는 사회적 모임도 겉돌게 되고, 혼자될 것처럼 보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3자가 있을 때만 관계가 원만한 것처럼 보이게 행동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