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특질론에 대하여
사람들은 타인의 성격을 기술하기 위해서 종종 내향적, 소심한, 또는 정직한 등의 형용사들을 종종 사용한다.
특질론에서도 사람들의 행동을 기술하거나 설명하기 위해서 특성을 사용한다. 그러나 과학적인 특질이론들에서는 사람들을 어떤 형으로 분류를 하는 대신 해당 특성 차원들의 연속선상에서의 위치를 양적 접근을 한다. 왜냐하면 유형론은 이분법적이어서 지나치게 단순화된 기술 방법이기 때문이다.
특질(trait)이란 한 사람을 다른 사람과 비교적 영속적으로 구분해 주는 심리적 경향성을 말한다. 이는 성격을 기본단위이자 인간 행동의 다양성(개인차)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성은 선천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고, 후천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사람들은 나름대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사회생활이나 대인 관계를 영위할 때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공통특성과 개인을 특징짓는 개별특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공통특성과 개별특성을 찾아내어 성격을 분류하려는 이론이 바로 특질론이다. 특질론의 분류와 그에 따른 성격 특징은 다음과 같다.
2. 앨포트(Gorden. W. Allport)의 특질론
특질의 개념적 기초를 세운 학자인 앨포트(Allport, 1897~1967)에 의하면, 성격은 개인 안에 존재하는
관찰 가능한 실존물로 환경에 대한 개인 특유의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내의 정신 신체적 체계들의 역동적인 조직화의 결과이다. 성격을 구성하는 요소가 바로 특성이며, 이러한 성격특성은 습관보다 더 일반화되어 있고, 다양한 상황에 서도 매우 일관성 있게 행동을 결정하며, 개인의 신경계의 구조에 포함되어 있다. 인간의 특성은 개별특질과 공통특질로 나눌 수 있고, 이 특질이 인성 구조의 단위인 동시에 동기유발의 기능을 갖는다. 개인적 성향은 형태 발생적 특질(morphogenic traits)로서 주특질(cardinal
traits)과 중심 특질(central characteristics), 이차 특질(secondary disposition) 로 나누어진다.
첫째, 주특질(cardinal traits)은 개인의 행동 및 사고양식에 가장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 특질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배적인 동기이며 정열이다. 재산을 모으려는 것, 권력을 잡으려는 것, 매력적이 되려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둘째, 중심특질(central characteristics)은 비교적 주위 사람들에 의하여 명백하게 판별될 수 있는 특질이다.
이는 보통추천서에서 자주 사용되는 '능력 있고 정직하고 부지런하며 최선을 다하는 사람'과 같은 것이 중심특질이다.
셋째, 이차특질(secondary disposition)은 특수한 상황에만 나타나는 보편성과 일관성이 적은 특질이다. 한 개인이 좋아하는 옷 스타일, 자동차에 대한 취향, 어떤 유형의 영화를 좋아하는지 등이 이차 특질인데, 사실 그 사람에 대해 상당히 친숙해야만 그 사람의 이차적 특질을 분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앞에서는 굉장히 권위적이고 무게 있는 교수가 집에서는 부인에게 ‘자기야~ 자기야~'를 연발하면서 뒤를 졸졸 따라다닌다거나, 밖에서는 너무 깔끔한 사람으로 알려진 사람이 가정에서는 세수도 안 하고, 지저분하고, 게으름을 피운다거나 하는 것이다.
3. 느낀점
단순하게 생각하고만 지나쳤던 것들인데 자세히 들여다보니 한 사람의 성격을 형성시키는 데에는 대단히 많은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
타고나는 부분도 있고 자라온 계절, 환경에도 영향을 받으며 심지어 먹는 음식마저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게 실로 놀라지 않을 수가 없다.
단순해보이기도하고, 복잡하긴하지만 그래도 성격이 형성되는 기전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하게 된다면 앞으로 마주치는 사람 혹은 마주쳤던 사람들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심을 가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살다 보면 의외로 낮은 기본공중도덕 의식을 가진 사람부터 의사소통의 기본인 말투까지, 이해하기 힘든 경우를 많이 보게 될 것인데 이제는 관찰자의 시선으로 본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의 콤플렉스 2가지, 남자의 부담, 혼란 (0) | 2023.04.24 |
---|---|
성정형화의 폐해 남자편 (0) | 2023.04.23 |
MBTI검사 결과 의미와 뜻 (0) | 2023.04.17 |
성격 연구에 대한 결과와 이론 (0) | 2023.04.16 |
성격을 결정짓는 요인들은 이런것들이 있습니다 (0) | 2023.04.15 |
댓글